등산/일반산행기

빨리 걷기에는 아까운 속리산 서북능선길

덕유평전 2011. 9. 5. 22:42

 

                                                          (묘봉에서 바라 본 속리주능선 파노라마)

 

1.산행지 속리산(상학봉-묘봉)

1.위치 및 높이: 충북 보은군. 경북 상주시 소재, 해발 834미터. 874미터

1.산행일시: 2011. 9 3. (토)

1.날씨: 맑은후 구름많음

1.산행코스: 운흥1리-살구나무골-안부-가평이씨무덤-개구멍바위-상학봉-묘봉-북가치-절골-갈림길-운흥1리

1.산행시간: 5시간45분

 

1.빨리 걷기에는 아까운 속리산 서북능선길.

속리산 서북능선상에 솟아있는 상학봉과 묘봉은 충북알프스구간에 속한다. 암릉길이 다소 험허지만 속리 주능선 이상의 아름다움을 간직한 산줄기이다. 상학봉 묘봉 산행은 이번이 세 번째이다. 초가을의 문턱에 들어선 요즘 하늘은 푸르고 햇살은 뜨겁지만 습도가 낮아 재법 선선한 편이다. 한마디로 고추 말리기에 좋은 날씨이다. 운흥1리 마을회관앞마당에 주차를 마치고 나홀로 산행을 시작한다.

 

                                                                       (가야할 서북능선(운흥리에서))

 

 

울퉁불퉁 암릉미를 자랑하는 서북능선이 어서 오라고 손짓한다. 등로에는 잡풀이 우거져 채 마르지 않은 이슬이 옷을 적신다. 갈림길에 이정표가 서 있다. 직진하면 험난한 토끼봉능선길이다. 토끼봉 능선길은 다음에 도전하기로 하고 우틀하여 골자길로 난 길로 올라간다. 한 40여분 올라서자 능선안부에 이른다. 계속 오르막길로 이어진다. 전망 좋은 곳에서 뒤돌아보자 서북능의 끝자락에 서 있는 미남봉이 서 있다.

 

                                                                       (미남봉)

 

 

 

바위 암릉길을 따라 오르내림을 반복한다. 등로에서 약간 벗어나자 바위와 바위사이 협소한 통로로 시원한 바람이 불어온다. 토끼봉능선과 함께 관음봉으로 이어지는 겹겹이 이어진 능선이 너무 아름답다.

 

 

 

 

 

 

 

 

 

                                                                                 (토끼봉)

 

 

 

 

 

 

 

 

 

 

 

아직 벌초를 하지 않은 가평이씨묘를 지나간다. 암릉구간 중간중간에 부드러운 오솔길도 있다. 전망좋은 바위에 앉아 겹겹이 흘러내린 서북능선의 풍광을 감상한다. 민원인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와서 법률상담을 하다보니 분위기가 반감된다. 건너편 뾰족하게 솟은 봉우리 너머에 상학봉이 보인다.

 

 

 

 

 

 

 

 

 

 

 

 

 

 

 

 

 

 

                                                                        (상학봉이 다가오고 있다.)

 

 

 

 

 

 

 

 

 

 

 

 

 

 

 

 

 

 

 

 

 

 

 

개구멍을 통과하자 로프가 매달린 암릉 내리막길이다. 로프를 잡고 올라 서는 것보다 내려 가는것이 더 힘들다. 등산객들이 삼삼오오 앉아있는 너럭바위에서 바라보자 상학봉이 코앞이다. 산행을 시작한지 3시간만에 상학봉에 당도하였다. 상학봉 정상에는 식빵같은 큰 바위가 있다. 전과 다르게 바위로 올라가는 사다리를 철거하여 오를 수 없다.

 

 

                                                                    (상학봉 정상)

 

 상학봉에서 묘봉구간은 1킬로미터로 짧지만 스릴넘치는 암릉구간이 많아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다.

 

 

 

 

 

 

 

 

 

 

 

 

 

 

 

 

 

 

 

 

 

 

 

 

 

 

 

 

 

 

펑퍼짐한 바위에 앉아 떡으로 간식을 하였다. 바위위에 자라 있는 소나무의 생명력이 질겨 보인다. 암릉길의 오르내림을 반복하자 어느덧 묘봉이다.

 

 

                                                                              (묘봉 정상)

 

 

 

 

 

 

 

 

 

 

 

                                                                     (묘봉에서 바라 본 속리주능선)

 

                                                                  (묘봉에서 바라 본 관음봉과 문장대)

 

                                                                        (당겨 바라 본 문장대)

 

                                                                      (묘봉에서 바라 본 구병산)

 

 

 

                                                                     (백악산)

 

묘봉에는 앞서간 산님 세분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묘봉에는 산악인 고상돈의 추모비가 있다. 천왕봉에서 문장대로 이어지는 속리주능선이 한눈에 보이고 우측편으로 구병산 줄기가 조망된다. 문장대에서 관음봉으로 솟구치다가 부드럽게 묘봉으로 이어지는 서북능선과 함께 화북쪽으로는 청화산과 백악산이 조망된다. 이제는 부드러운 내리막길의 하산길이다. 북가치를 지나 계곡길을 따라 내려간다. 묘봉두부마을 식당 안내판이 이정표가 되어 갈림길에서 좌측길로 접어든다. 만나는 사람이 거의 없어 고즈넉하기만 하다. 한참 내려서자 등로는 풀이 수북하여 바닥이 보이지 않는 길로 이어지다가 널널한 농로길로 이어진다.

 

                                                           (지나온 서북능선을 다시 한번 바라본다.)

 

                                                                     (운흥1리 마을)

 

 운흥1리에 이르러 산행을 마치고(13:50) 묘봉두부마을 식당에서 두부백반으로 점심식사를 맛있게 하고 귀가하였다. (사진 d80. 18-135)